반응형
LG전자의 첫번째 안드로이드폰 이었던 안드로원이 사실상 공짜 스마트폰으로 KT에서 불과 얼마전에 출시가 되었죠. 요즘은 정말 다양하고 빠르게 새로운 휴대폰들이 나오고 있어서 안드로원이 출시가 되었던게 오래전 일 같이 느껴 집니다.
안드로원 체험단으로 일주일간 더욱 자세하게 들여다 볼수 있었던 안드로원의 뒤늦은 이야기를 한번 풀어 볼까요?^^
아담하지만 갖출것은 모두 갖춘 외관 |
중앙부의 버튼을 제외하면 모두 터치로 되어 있구요.
안드로이드 폰들의 UI나 인터페에스는 대부분 비슷하기 때문에 몇번 안드로이드 폰들을 만져 보았더니 이제는 꾀 능숙하고 익숙해 졌습니다.
상단 스피커 부분은 스틸재질로 되어 있고, 센서만 가 후측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안드로원에 영상통화 기능이 탑제가 되었더라면 지금보다 훨씬 인기가 많았을것 같은데 말이죠.
기기가 작아서 오밀 조밀하게 되어 있지만 불편하지 않고 3.5파이의 이어폰 단자와 야간 촬영을 위한 플래시등 갖출것은 잘 갖춰진 한국형 스마트폰 입니다.
야간 촬영을 해 보지 못했는데.. 기본적으로 전 폰카들의 야간 촬영은 별로 기대하지 않는터라 패스..ㅎ
저희 회사 여직원분에게 보여 드렸더니 전화기가 예쁘다며 어디것 이냐고 물어 오시더군요.
검정색이라서 여자 분들은 별로 안좋아 할것 같았는데 사이즈가 작아서 아담하니 좋은가 봅니다,
또 사이즈가 작다보니 LCD도 작고 .. LCD가 작은것이 좀 않좋을수도 있는데 그 덕에 약간은 전력 소비도 줄일수 있을것 같고 웹서핑등에서는 쿼티를 열어서 자판으로 활용하면 저 사이즈 전체를 브라우져 화면으로 이용할수 있기 때문에 서핑에서는 오히려 다른 폰들보다 더 편했습니다.
쓸수록 빠져드는 쿼티자판의 매력 |
모바일 라이프 스타일이 스마트폰의 대중적 성공과 함께 많이 변화되고 아이폰의 등장이 사람들을 열광시키고 있지만, 아직도 기기적 입력장치를 그리워 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고 터치로 입력하는것에 불편을 느끼시는 분들은 쿼티 키패드의 매력 때문에 엑스페리아등의 쿼티가 달린 스마트폰을 계속 유지 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거든요.
제가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아서 잘 몰랐는데.. 모델이 신세경씨 였군요.. 신세경씨가 들고 있는 바로 제 안드로원을 김군에게 기증해 주시면 안될까요?ㅎㅎ
좀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찾아 봤더니 그 부분은 없는것 같던데 키보드의 메뉴얼이라면 좀 우습지만 간단한 조작법 같은것 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아직은 조금 부족하지만 갖출것은 다 갖춘 어플들 |
어플들이 많아야 기기를 사용하는데 더욱 재미를 가질수 있으니 앞으로도 어플들의 계속적인 업데이트와 통신사 차원에서도 지원들이 많이 이뤄지면 좋겠군요.
기본 탑제된 어플들도 구글서비스들이 많구요. 그리고 재미난것이 구글의 스카이 어플인데요. 어플을 실행시키면 증강 현실을 통해 자신이 바라 보는 방향에 별들이 나타나는 어플 입니다.
밤하늘의 별자리를 찾아 보는 재미도 쏠쏠 하겠군요.
생각보다 프레임이 부드럽게 잘 돌아 가더군요. 화질도 꾀 선명한 편이라서 동영상 이용에도 무리가 없고 디빅스를 지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동영상들을 편하게 즐길수 있습니다.
하지만 번거롭게 이용해서 게임을 구해야 한다는것은 분명 걸림돌로 작용할것이 뻔 합니다.
이건 안드로원의 문제는 아니고 모든 안드로이드 폰들이 가지고 가야할 숙제가 된것이긴 한데, 행정력이 부실한 우리나라에서 무었으든 규제하고 사전 심의 하려는 의도들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라 좀 찜찜 하내요.
차후에 한번 다시 이문제를 풀어 보겠지만, 사전 심의 제도가 없는 안드로이드 마켓의 특성상 안드로이드 마켓이 분리 한것은 사실 입니다.
우리나라 이통사들이 자체 안드로이드 마켓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방안이 될수도 있지만, 이통사나 제조업체에게 휘둘려야 한다는것은 좋은 현상은 아니거든요.
이 문제가 어떻게 흘러갈지는.. 저도 주의 깊게 보고 있습니다.
다양한 장점을 가진 안드로원 임에도 불구하고 많이 평가 절하되서 논의 되는것이 참으로 안타깝더군요.
물론 하이앤드급의 다른 기기들과 비교하면 OS 도 안드로이드 1.5 버전에 하드웨어적인 스팩드 그리 좋은편은 하닙니다. 하지만 쓰다보니 괜찮은 퍼포먼스와 좋은 성능을 내어 주는 안드로원의 매력에 빠지게 되더군요. 쿼티 자판의 매력이 주요 했겠지만요.^^;;
다양하게 안드로이드 폰들은 쏟아져 나오는데 그에 따른 정부의 정책이나 이통사 혹은 제조사의 노력들은 따라가지 못하는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안드로원도 OS를 1.5에서 업그레드를 해 준다고는 했으나 아직 소식이 없군요.
2.0이상으로 업글계획도 없기 때문에 좀 편리한 풀터치로 남겨질 소지도 분명하게 있습니다.
LG측에서도 좀더 다양한 지원책이 있어 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물론 하이앤드급의 다른 기기들과 비교하면 OS 도 안드로이드 1.5 버전에 하드웨어적인 스팩드 그리 좋은편은 하닙니다. 하지만 쓰다보니 괜찮은 퍼포먼스와 좋은 성능을 내어 주는 안드로원의 매력에 빠지게 되더군요. 쿼티 자판의 매력이 주요 했겠지만요.^^;;
다양하게 안드로이드 폰들은 쏟아져 나오는데 그에 따른 정부의 정책이나 이통사 혹은 제조사의 노력들은 따라가지 못하는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안드로원도 OS를 1.5에서 업그레드를 해 준다고는 했으나 아직 소식이 없군요.
2.0이상으로 업글계획도 없기 때문에 좀 편리한 풀터치로 남겨질 소지도 분명하게 있습니다.
LG측에서도 좀더 다양한 지원책이 있어 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