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텔의 프로세서와 쌍벽을 이루며 컴퓨터 시장을 주름잡았던 AMD. 초기의 AMD는 성능보다는 발열 등의 외형적 이슈로 관심을 더 많이 받았고, 컴퓨터를 조립할때 성능보다는 가성비로 따지며 최고 보다는 최선의 선택이 되어주곤 했습니다.
때문에 별도의 그래픽카드가 없더라도 내장 그래픽에 비해서 월등히 좋은 성능을 보여 줄 수 있습니다.
현재 양산되고 있는 AMD의 APU는 보급형 시장을 노리는 E시리즈와 프리미엄급의 A시리즈로 나누어집니다. 현재는 보급형의 E시리즈가 장착된 노트북이 유럽과 북미시장에서 판매가 되고 있고 꾀 괜찮은 반응으로 제조사도 깜짝 놀라고 있다고 합니다.
기술적으로 들어가는것보다 사람들이 체감할수 있는것중에 APU가 샌디 브릿지보다 더 좋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설명하는게 더 와 닿겠죠?
CPU를 한번에 해결 할 수 있으니 비용적으로도 절감이 됩니다. 기존에 인텔이 보여준 내장형 그래픽기술도 상당히 향상되었지만 아무래도 그래픽전용 카드의 성능을 따라오기는 힘든데 단순히 내장형 그래픽이 아닌 그 이상의 성능을 내어주는 그래픽 키드를 CPU에 함께 집어 넣었다는게 참 신기 하더군요.
몇해전 AMD가 ATI를 인수 했을때, CPU만으로 안되니까 그래픽 카드 시장을 노리는 구나.. 라고 단순하게 생각 했었는데 이런 프로젝트를 하나하나 차근히 준비 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찌보면 시장을 좀더 멀리보는 선견지명을 가졌었던것 일수도 있겠죠.
아직까지 APU는 생소한것임에는 틀림없고 사람들이 선택하기에는 망설여 지기도 합니다. 생소하니까요.
일단 하드웨어 라는것이 어렵고 귀찮기 때문에 보통은 다른 사람들에게 그냥 맡겨 버리니까요.
고성능의 CPU와 APU를 비교 하는것은 사실 좀 어렵습니다. APU 자체가 그래픽에 특화된 CPU이기 때문이지요. 단순히 CPU만의 퍼포먼스를 따지만 아직까지 시장에 나온 AMD의 E시리즈는 성능이 떨어지는 경향도 살짜쿵 있습니다. 대부분은 A시리즈인 라노 제품군을 선택하지 않을까 하내요. 사실 저도 E시리즈 보다는 A시리즈에 관심이.. ㅎㅎ
다음 포스트에서는 APU의 E시리즈가 장착된 노트북을 통해서 얼만큼의 퍼포먼스를 보여 주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까지 APU는 생소한것임에는 틀림없고 사람들이 선택하기에는 망설여 지기도 합니다. 생소하니까요.
일단 하드웨어 라는것이 어렵고 귀찮기 때문에 보통은 다른 사람들에게 그냥 맡겨 버리니까요.
고성능의 CPU와 APU를 비교 하는것은 사실 좀 어렵습니다. APU 자체가 그래픽에 특화된 CPU이기 때문이지요. 단순히 CPU만의 퍼포먼스를 따지만 아직까지 시장에 나온 AMD의 E시리즈는 성능이 떨어지는 경향도 살짜쿵 있습니다. 대부분은 A시리즈인 라노 제품군을 선택하지 않을까 하내요. 사실 저도 E시리즈 보다는 A시리즈에 관심이.. ㅎㅎ
다음 포스트에서는 APU의 E시리즈가 장착된 노트북을 통해서 얼만큼의 퍼포먼스를 보여 주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