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가까운 스마트를 꿈꾸는 대화형 음성인식의 승자는 누구?
LTE스마트폰의 제2 라운드가 되면서 제조사들은 하드웨어 스펙과 함께 저마다 휴머니즘을 가미한 인간과 가까운스마트를 외치며 대화형 음성인식 서비스를 가지고 나왔습니다. 애플의 Siri로 촉발 된 대화형 음성인식 기능은 국내 제조사들에게도 상당한 인상을 남기며 저마다 음성인식을 탑제하기 시작 했습니다.
LG전자는 자사의 스마트폰들의 ICS 업데이트와 함께 퀵 보이스를 선보였고 삼성에서는 갤럭시S3의 등장과 함께 S 보이스를 선보였습니다. 퀵보이스는 Q보이스로 이름을 변경하면서 더욱 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기도 합니다. 과연 둘 중에 어떤 스마트폰이 더욱 편리한 음성인식을 보여 줄까요?
이번 테스트는 갤럭시S3 LTE버전과 Q보이스가 적용 된 옵티머스 뷰를 놓고 테스트를 했습니다. 옵티머스 LTE2에도 퀵 보이스가 적용 될 예정이지만 아직까지는 업데이트 되지 않았기 때문에 옵티머스 뷰를 테스트 기기로 선택해야 했내요. 둘다 WiFi 환경이었고 2번씩 같은 내용을 테스트 했습니다.
이번테스트는 실질적인 테스트 내용을 보기 위해 사진이 아닌 영상으로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두 기기를 붙여 두고 테스트 하기 때문에 옆의 기기에서 들리는 소리를 인식하는경우가 있으니 감안해서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 전화걸기
둘다 전화걸기를 실행하면 연락처에서 전화번호를 찾아서 전화를 걸어 줍니다. 우리집 이라는 연락처를 저장해 두고 전화걸기를 실행해 보았는데 Q보이스에서는 2번다 잘 인식 된 반면 S보이스 에서는 잘 실행이 되지 않았습니다. 영상에 찍혀 있는 것 외에도 계속 몇번 테스트 해 보았는데 둘다 딱딱 끊어지는 단어는 인식이 그나마 좋은 편이지만 부드럽게 이어지는 단어는 확실히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 메시지 보내기
자연어로 길게 하는것은 둘다 크게 인식률이 좋지는 못하더군요. 단답형으로 명령을 전달하고 계속 대화를 이어가는게 인식률은 좋습니다.
- 메모하기
메모하기를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두 기기를 붙여 두다 보니까 첫번째 인식 이후에는 둘이 좀 간섭이 생기더군요. Q 보이스가 인식률이 좋아서 S보이스가 자꾸 뒷북을 치내요. 단계별로 나누어서 테스트 해 보니 역시 빠르게 응답하는 퀵보이스가 더 빠르게 진행이 됩니다.
- 알람설정
알람설정을 해 보아도 퀵 보이스가 빠르게 응답해 주고 빠른 진행을 보여 줍니다. 자꾸 옆에서 S보이스가 늦게 대답하는것을 인식해서 테스트 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생기더라구요. 둘다 알람설정을 하는것이 어렵지는 않은데 S보이스는 오후 열시라고 표시해 두고는 계속 다시 물어보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웹 검색
구글 검색과 네이버 검색을 진행해 보았는데 둘다 비슷하게 인식하고 반응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역시 퀵보이스 쪽이 더 빠른 실행결과를 보여 줍니다. 근대 왜 검색 결과 페이지가 좀 다를까요? 둘다 모바일 페이지 인데 옵티머스 뷰는 인물검색정보까지 나오내요?
- 어플리케이션 실행
간단히 카메라 앱을 실행해 보았습니다. 웹 검색과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 실행도 반응속도가 빠른 퀵 보이스 쪽이 빠르게 반응해 줍니다. 단순히 음악 이나 카메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플을 실행 할 수 있는데 기본 어플이 아니고 어플이름이 좀 어려운 것들은 둘다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발음이 비슷한 음이 이어지는 경우도 비슷하게 인식률이 떨어 집니다.
- 주변 검색
주변검색을 해 보았는데, 단순히 은행이나 주유소 같은 단어만 말하면 주변의 각 POI를 검색해 주는 Q보이스와는 다르게 S보이스는 단어를 정확하게 인식 하고도 잘 모르겠다는 답변만 보내 줍니다. 따로 주유소 검색이라는 키워드를 갤럭시S 3의 퀵 보이스에만 테스트 해 보니 자꾸 뭘 검색하겠냐고 물어보더군요. 주변 주유소를 말하면 웹 검색으로 넘어가 버립니다. 어떤게 정답이라고 말 할 수는 없지만 어느 방식이 더 편해 보이나요? 저는 Q보이스가 훨씬 심플해 보입니다.
- 톡&톡 ( 실시간 대화)
이건 따로 따로 테스트를 했는데 실시간 대화 같은 경우는 역시 Q보이스가 갑입니다. 빠르게 응답해 주거니와 다양한 상황에서 재미나고 위트 있는 대답을 들려 주거든요. 톡&톡 같은 경우는 자연스러운 대화를 위해서 빠른 인식이 가장 중요한데 그런 부분에서는 Q보이스가 완벽한 승리 입니다. 위트까지 갖춘 음성인식 이랄 까요?^^
S보이스 같은 경우는 이해를 못했다고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둘다 괜찮은 사용성을 보여 주지만 계속 테스트를 해 보니 S보이스 보다는 Q보이스 쪽이 인식률도 좋은 편이고 무었보다 빠르게 진행이 됩니다. 보이스의 경우는 한참 기다려야 해서 톡&톡 처럼 대화를 진행하는 서비스는 좀 무리가 있더군요. 그리고 둘 다 딱딱 끊어지는 단어는 잘 인식이 되는데 발음이 이어지는 단어는 좀 힘겨워 하더라구요. 제 발음이 이상한가?ㅎㅎ 그래도 Q보이스 쪽이 좀 더 잘 인식해 주는 편 이었습니다.
음성인식 이란게 사람마다 음량이나 톤 그리고 발음등이 모두 달라서 그런 부분을 얼마나 잘 커버해 줄 수 있느냐 하는게 관건인데 이런 부분은 Q보이스가 더 나아 보입니다. 그리고 S보이스나 Q보이스 모두 네트웍으로 진행이 되기는 하는데 Q보이스가 반응이 확실이 빠르더라구요. 둘을 붙여두고 테스트 해서 옆의 기기의 소리를 인식하는 경우가 있는데 Q보이스가 항상 빨리 작업을 끝내니까 갤럭시S 3가 한템포 늦게 내는 단어를 인식하는경우가 생깁니다.ㅎㅎ
S음악이나 사진 같은 고유명사는 둘다 비슷하게 잘 알아 듣는데 역시 Q보이스가 이름처럼 인식이나 진행이 빠른 편 입니다. S보이스는 한박자 쉬어가는 듯한 느낌이 계속 들더라구요.
무었보다 음성인식의 인식률이 상당히 중요한데 자연어 검색의 경우는 S보이스가 잘 따라오지 못하고 계속 잘 못알아들었다는 말을 내 뱉는 경우가 많아서 그닥 재미가 없는데 반면 Q보이스의 경우는 대화하다 보면 상당히 재미난 대화를 많이 발견 할 수가 있습니다.^^
이제 IOS6가 오픈되면 아이폰에서도 한국어로 된 Siri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인데 시리의 사용성은 또 어떨지 궁금해 지내요.
이거는 결과가 나와 있어요. 바로 시리죠 아니면 곧 구글에서 나올 음성인식이던가요. 왜 냐하면 양에서 비교가 안되기 때문입니다 처음에야 호기심으로 여러가지 테스트 지만 나중에는 실용적으로 나아가겠죠 그렇다면 기술력과 세계언어로 승부가 나는데 결국에는 시리가 이기겠죠 아니면 구글 음성 검색이던가요 ㅎ
한국형 DB를 가진 Q보이스도 만만치 않아 보이는데요?ㅎㅎ시리는 베타를 거듭 할 수록 인식률이 떨어진다는 이야기도 있고... 역시 나와 봐야 알수 있을것 같아요.
한국인이 사용하기에는 아무리 데이타량이 많고 월들한 기술력이라도 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음성인식 서비스를 뛰어 넘을수는 없습니다!! 고로 시리건 구글이건 간에 결국 승자는 국내기업이죠! 한국인에게 있어서는!!!
옵뷰는 사용을 못해봤는데 잘봤습니다.
갤럭시S2와 마찬가지로 갤럭시S3에서도 인식률은 좋은데 처리속도 면에서는 갤럭시S3가 빠르더라구요. 그런데 S3 보다 옵뷰가 훨씬 처리속도가 빠르군요. 아직까지 그래도 음성으로 모든걸 제어하기에는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전 갠적으로 옵뷰가 좋았던 것은 센스있는 대단을 하는 게 잼있고 좋더라구요~ 삼성은 그런건 없는 듯~~~~ㅎ잘봤습니다~~^^
아직 음성인식은 초기 단계이긴 한데 꽤 쓸만해요. 재밋기도 하구요.
Q보이스가 훨씬 인식률이 좋은가보군요
Q보이스 완전 빨라요. 신기신기~
앞으로 보이스관련해서 많은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향상이 될꺼 같아요..^
말로 뭐든 다 제어 할 수 있는 시대가 곧 열리지 않을까요?
이렇게 영상을 보면서 비교하니까 확연히 차이나네요.
Q보이스가 더 좋아보이는데요. S보이스 기다리다가 지치겠어요 ^^
S보이스도 자극 받아 뭔가 조치를 좀 취하겠죠..ㅋㅋ
S보이스와 Q보이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전 s보이스를 맨 처음에는 재미로 사용을 하다가 지금은 설치만 해 놓고 있는 중입니다...^^
S보이스가 인식률이 좀 떨어지고 느려서 잘 안쓰게 되더라구요.
그렇군요~ 잘 보고 갑니다~ 오늘 하루 잘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큐보이스 한번 해보고 싶군요
Q보이스 완전 좋아효~
마지막에 w보이스는 q보이스를 말하는 거죠?
앗 이런 오타가.. 수정 했습니다.^^
소녀시대에 검색하셨을때 의문이라고 하셨는데 이유가 있습니다.
Q보이스는 네이버에 '소녀시대'라고 검색한 반면 S보이스는 네이버에 '소녀시대 검색'으로 검색했네요;;
S보이스가 원하는 단어에 대한 인식 타이밍이 좀 ...그렇네요;;
아.. 그런가요? 촬영 하면서도 몰랐내요..ㅎㅎ
Q보이스 나름 괜찮아 보이네요^^
100만 알바설의 Q보이스! 완전 좋아요..ㅋㅋ
S 보이스 통화 기지국 표시도 안됬는데 긴급통화로 이어제는게 당연한 결과아닌가요..?
전화 실험은 좀 억지스럽네요
음.. 그것은 통화가 연결 되기 까지의 과정만 좀 보시면 될것 같아요. 반응속도 측정 정도니까요.^^ 둘다 미 개통상태에서의 측정 입니다.
한국인이 사용하기에는 아무리 데이타량이 많고 월들한 기술력이라도 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음성인식 서비스를 뛰어 넘을수는 없습니다!! 고로 시리건 구글이건 간에 결국 승자는 국내기업이죠! 한국인에게 있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