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마트폰도 어느날 갑자기 나타난것이 아니듯이 SNS서비스도 용어가 생소하고 낯설어서 그렇지 오래전 부터 우리 주위에 존재 했습니다. 아이폰으로 스마트폰이 화두에 오르긴 했지만 분명 스마트폰도 그 이전 부터 존재 했습ㄴ디ㅏ.
해외 서비스는 단연 트윗이 인기이고, 국내에도 다음의 요즘이나 네이버의 미투데이 같은 서비스가 있죠.
그러면서 사람들이 자신을 나타내는것에 더욱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자연스레 자신의 모든것을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기존 SNS서비스들이 스마트폰이나 웹상에서 수다를 떠는것이라는 개념이라면 아임IN 서비스는 거기에 조금더 더해서 자신이 다녀간 흔적을 남기고 랭킹 시스템과 칭호 같은 게임적인 요소를 적용해서 SNS의 재미를 더욱 증대 시키는 서비스라고 생각 하면 되겠내요.
현재 안드로이드 마켓과 T스토어 그리고 KT사용자들을 위한 올레마켓에서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콜롬버스와 마스터 레벨이 존재 하는것도 완전히 같고 파란ID로 로그인 해서 사용 하는것 이기 때문에 아이폰 계정으로 누적된 데이터나 안드로이드 폰에서 누적된 데이터나 모두 같이 적용이 됩니다.
근대 2개의 기기가 같이 로그인이 되어도 별도로 체크는 하지 않나 보더라구요. 제대로된 누적 데이터를 얻으려면 2개의 기기에 동시에 접속되는 것은 막아 주는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긴 합니다.
아임IN 다운로드 받기
아이폰 : http://itunes.apple.com/kr/app/id378485209?mt=8
KT의 올레마켓 : http://www.ollehmarket.com/appDetail?ptype=C&pid=51200000852482
SKT의 T스토어 : http://www.tstore.co.kr/userpoc/game/viewProduct.omp?insDpCatNo=DP03004&insProdId=0000042556&prodGrdCd=PD004401&t_top=DP000503
아이폰 : http://itunes.apple.com/kr/app/id378485209?mt=8
KT의 올레마켓 : http://www.ollehmarket.com/appDetail?ptype=C&pid=51200000852482
SKT의 T스토어 : http://www.tstore.co.kr/userpoc/game/viewProduct.omp?insDpCatNo=DP03004&insProdId=0000042556&prodGrdCd=PD004401&t_top=DP000503
상단에 자신의 위치와 설정 반경이 나오는데 최고 600Km까지 설정이 되니까 자신의 인근 부터 한반도 전체까지 확대 할 수 있는 셈 입니다.
발도장을 찍은 장소는 파란 글씨로 표시가 되고 아이폰 사용자 인지 안드로이드 사용자 인지도 표시가 됩니다. 첨부된 사진이 있는 경우 리스트 우측에 작은 썸네일이 표시가 되구요.
리스트 가장 좌측에 표시되는 유저프로필 사진을 터치하면 해당 유저의 마이홈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광장의 리스트 뿐만 아니라 어떤 화면에서든지 프로필 사진을 터치해면 해당 유저의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아임IN 활용의 예
광장의 리스트는 밀려 올라갈 수도 있지만 만일 이웃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간단하게 찾아서 글을 볼 수 도 있고 말이죠.
위의 경우처럼 마트에 쇼핑을 하러 갔을 경우 상대방에게 의사를 물어 보기 위해 비용을 들여가며 MMS를 보내지 않아도 아임IN에서 사진을 올리고 물어 볼 수도 있겠죠?
활용하기에 따라서는 굉장히 다양하게 실생활에서 활용 할 수도 있습니다. 약속장소 도착 인증해서 가장 늦게 인증한 사람이 술값내기 라던지 등등 말이죠.^^ㅋ
안드로이드는 옵션창을 따로 띄울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폰과 UI가 좀 틀리게 구성이 되어 있지만 기능들은 전부 같습니다. 옵션 버튼을 누르면 옵션창에서 유저를 검색하거나 초대를 할수 있는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페이스북에 있는 이웃들을 초대 하는 기능만 가지고 있습니다. 웹서비스에서는 Gmail, paran, 네이버, 다음 메일의 주소록 연동을 통해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지인을 아임인으로 초대 할 수 있습니다.
이웃 추천탭에서는 아임IN에서 추천하는 이웃 뿐만 아니라 자신의 연락처에 있는 사람들 중에 아임IN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자동으로 찾아서 보여 줍니다.
아임IN은 트위터의 팔로워야 팔로윙 비슷한 개념이 있습니다. 자신이 이웃신청한 사람의 수가 표시가 욉니다.
그리고 아임IN의 서비스중에 가장 재미난 서비스인 마스터라는 개념이 있는데 자기가 마스터로 있는 지역의 숫자가 표시가 됩니다.
옵션창을 활성화 시키면 자신의 프로필을 보고 있을 경우는 자신의 콜럼버스를 다른 유저의 프로필을 보고 있을 경우는 해당 유저의 콜럼 버스를 볼 수 있습니다. 콜럼버스는 아무도 다녀가지 않은 장소에 최초로 발도장을 찍은 것을 뜻 합니다.
아임IN의 파워 서비스~~ 마스터! 마스터가 되어 사이버 땅주인이 되어봅시다.
리스트를 보면 좌측에 신호등모양의 표시가 나타나는데 2등과의 격차가 얼마 되지 않을때 위험 신호를 보여 주는것 입니다. 은근 승부욕을 자극 하겠군요..ㅋㅋ
이것과 비슷한 서비스중에 포스퀘어가 있는데 포스퀘어는 아무래도 외국기업이다 보니 한국 데이터가 많지 않은데 아임IN은 KTH의 서비스라 한국형 POI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니 훨씬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습니다.
발도장을 찍을 장소를 검색도 할 수 있는데 좀 멀리 떨어진곳을 검색해서 발도장을 찍어도 포인트는 얻지 못합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빠르게 늘면서 이동하면서 즐길수 있는 마이크로 SNS서비스들이 사랑 받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즐길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데이터의 소모량이 많지 않기도 해서 인데요. 아임IN서비스는 이러한 유저의 NEEDS와 함께 재미요소를 이것 저것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친구들과 혹은 지인들과 즐기기에 좋습니다.
아이폰, 안드로이드 할것 없이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니 주변에 스마트폰을 가진 친구들이 있다면 아임IN땅따먹기 게임~ 한번 즐겨 보시는것은 어떨까요?^^
아이폰, 안드로이드 할것 없이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니 주변에 스마트폰을 가진 친구들이 있다면 아임IN땅따먹기 게임~ 한번 즐겨 보시는것은 어떨까요?^^
반응형